한국전쟁 당시 우리 국민 역시 난민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이 때 국제사회는 각종 원조와 구호활동을 전개하며 대한민국 국민의 보호와 사회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예멘 난민 문제가 불거진 지 어느덧 3개월 가량이 지났다. 그럼에도 난민 수용에 관한 논쟁이 계속 되는 만큼, 한국의 난민 역사를 기억하며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자세로 난민문제를 바라보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12일 오후 2시 기독교회관에서 '난민과 함께 사는 세상'이란 긴급토론회가 개최됐다.ⓒ데일리굿뉴스
  
한국전쟁 전후 유엔의 국내 보호 활동…"재건에 기여"
 
"낯선 이방인에 대한 토로와 편견에 근거한 설전, 흥미로운 점은 그 논쟁 과정에서 종종 과거 대한민국 역사에서 난민이 언제 발생했었고 국제사회가 대한민국의 오늘을 위해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에 관한 물음들이 등장한다는 겁니다"
 
12일 오후 2시 기독교회관에서 열린 긴급토론회에서는 한국전쟁 당시 한국 국민이 난민이었던 시절, 유엔(UN)으로 부터 어떤 보호를 받았는지에 대한 공유가 이어졌다. 이날 토론회는 국내 난민현실을 알리고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총무 이홍정 목사)와 유엔난민기구(UNHCR) 한국대표부가 공동으로 긴급히 마련한 자리다.
 
한국 전쟁 전후로 유엔이라는 국제사회는 실제로 우리 국민의 보호와 사회발전을 위해 상당한 역할을 도맡았었다.
 
먼저 유엔한국위원단을 설립해 분단으로 야기되는 경제적, 사회적 및 기타 교류 장애를 제거하기 위해 노력했다. 6.25 전쟁 중 파괴된 한국의 재건을 목표로 세워진 유엔한국재건단은 전쟁으로 훼손된 시설 재건에 나서는 등 다양한 원조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채헌영 법무담당관은 "유엔한국재건단은 휴전 이후 본격적인 원조활동을 개시했다"면서 "식량을 비롯한 물자를 들여와 우선적으로 민생안정을 꾀하는 데 주력했다. 그 뒤엔 순차적으로 파괴된 주택과 의료, 교육 시설 등을 재건했다"고 설명했다.
 
한국교회와의 협력 요구…"방향성 정해야할 시점"
 

또한 그간 유엔은 수많은 종교 단체, 종교 기반 커뮤니티 및 종교지도자들과 함께 다양한 협력을 기울여왔다. 이 같은 협력사례는 한국 전쟁 당시를 비롯해 2011년 코트디부아르 실향민 발생 등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현재에도 유엔난민기구의 보호대상자, 즉 난민과 비호신청자, 국내실향민 및 무국적자의 실질적 보호에 있어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했다.
 
채 법무담당관은 "대한민국 사회에 적응하기 시작한 초기 입국자들의 경우, 동일 출신국 또는 언어권의 커뮤니티가 형성돼 있지 않거나 도움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지역에 기반한 종교 단체에 의지하는 비중이 높을 수 밖에 없다"며 "종교 단체와의 파트너십은 수년에 걸쳐 그 가치가 입증된 부분"이라고 전했다.

결국 이 같은 배경에 비추어 유엔난민기구, 또는 여타의 난민 단체들과 한국교회와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됐다. 이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언급되기도 했다.   
 
채 법무담당관은 "향후 협력 방향을 설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건 먼저 종교 단체들의 방향성을 정하는 일"이라며 "난민 보호 활동을 하는데 종교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향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논의해야 한다. 이것이 남겨진 과제"라고 강조했다.
 
더 나아가 '난민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논한 최형묵 목사(NCCK 정의평화위원회 부위원장)는 난민문제를 향한 '한국교회의 적극적인 실행력'을 최대 과제로 꼽았다. 그는 "한국교회 안에서 복음의 정신을 삶의 윤리로 구체화하는 노력이 절실하다"며 "그리스도의 복음은 무조건 환대를 지향하며 그리스도인은 그 정신을 삶의 현장에서 구현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