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를 어떻게 처리할 지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적극 대응 방침을 밝혔다. 내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일본이 민감해하는 방사능 문제를 꺼내 든 것으로 보인다.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오염수를 담아둔 대형 물탱크가 늘어져 있는 모습.(사진제공=연합뉴스)

가장 민감한 '후쿠시마' 문제 쟁점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빚어진 환경 재앙은 8년 5개월이 지난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올해 초 '후쿠시마 제1 원전 오염수 위기'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일본은 지난 8년간 방사성 오염수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그 결과 오염수 규모가 111만t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방사능 오염수는 원전 안에 남아있는 핵원료를 식히기 위해 쏟아 부은 물과 지하수 등이 합쳐진 것으로, 그 양이 하루 170t씩 늘고 있다. 문제는 일본 정부가 이 같은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00만t을 바다에 방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폭로한 숀 버니 그린피스 원자력 분야 수석 전문가는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하지 않고 더 보관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데도, 방류하려는 이유는 처리 비용이 덜 들기 때문"이라며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바다를 순환하기 때문에 후쿠시마뿐 아니라 태평양 연안 국가들도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본이 방사능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우리 나라는 피해를 입을 대표적인 나라에 속한다. 이와 관련, 정부는 오염수 해양 방출 우려에 대한 일본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고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대응할 방침이다.
 
외교부 김인철 대변인은 "피해가 우려되는 태평양 연안국가들과 공동대처에 나서는 등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저장고가 꽉 차는 내년 8월 전까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정부가 방사능 오염수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하고 나선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일본 경제 보복 조치에 대한 '맞대응'카드이자, 내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공을 들이고 있는 아베 신조 정권을 압박하겠다는 전략으로도 풀이된다.
 
정부는 오는 11월 개최 예정인 한·중·일 '원자력 고위 규제자 회의' 등에서 오염수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당장 내달 오스트리아에서 열리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에서는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가 처음으로 국제무대에서 공론화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 소식통은 "한국 정부가 아베 내각이 가장 민감해하는 후쿠시마 이슈와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도쿄올림픽 문제를 꺼내 일본을 압박하겠다는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